신뢰 회복과 갈등 해소 위한 협력 다짐
전공의 역할과 수련 본질 강조
다기관 협력수련제 논의도 병행해...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가 제안한 수련병원별 ‘수련환경 TF(가칭)’ 설립이 현실화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대한수련병원협의회(수병협)가 이를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 회원 병원들에 협조를 요청하기로 했기 때문이다.
지난 26일 저녁, 서울역 인근에서 열린 양 단체 간 간담회에서는 1년 반 이상 단절돼 있던 교수-전공의 관계 회복과 수련환경 개선을 위한 협력 의지가 확인됐다. 이날 정정일 대전협 대변인과 조병기 수병협 총무이사는 공동 브리핑을 통해 전공의와 복귀 전공인력 간 갈등 해소, 진료지원인력(PA)과의 업무 조정, 교수진과의 신뢰 회복 등이 주요 논의 주제였다고 밝혔다.
대전협이 건의한 TF는 단순히 전공의와 PA 사이의 업무 분장 문제를 넘어서, 기존 교육수련부만으로는 관리에 한계가 있던 수련환경 전반을 다루는 별도 기구다. 정정일 대변인은 “기존 병원 내 교육수련 조직이 있었지만, 수련환경 개선을 총괄할 기구가 필요하다는 판단을 내렸다”고 설명했다.
조병기 수병협 총무이사는 “임상과 단위로 맡겨져 있던 교육은 각 과 분위기에 따라 편차가 컸다”며 “근무시간 관리와 직역 간 소통을 총괄하는 컨트롤타워가 필요하다는 데 병원장들도 공감했다”고 전했다. 다만 지역·규모·정원 등 병원별 여건이 다르기 때문에 TF 설립을 강제하지 않고 협조를 구하는 방식으로 추진하겠다는 방침이다.
이날 논의에서는 전공의 복귀 과정에서 불거진 오해도 해소됐다. 일부 전공의 사이에서 제기된 “당직 면제”나 “PA 업무 이관” 요구가 일반화된 의견은 아니라는 점을 확인했다. 조병기 총무이사는 “전공의 당직 부담을 이해하나 즉각 해소는 어렵고, 특정 업무를 기피하는 것은 전문성 형성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는 또 “환자를 통해 경험을 축적하고 술기를 익히는 과정이 전공의 수련의 본질”이라며 “일로만 여기지 말고 숙련된 의사로 성장하는 기회로 받아들여달라”고 당부했다.
양측은 정부가 올해 추진 중인 ‘전공의 다기관 협력수련제’ 시범사업에 대해서도 의견을 나눴다. 해당 제도는 전공의가 상급종합병원에서 주로 접하는 중증 환자뿐 아니라, 지역병원에서 일반 환자까지 경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핵심이다.
그러나 대전협과 수병협은 단순한 인력 파견 형태로 변질되거나 기준 없는 기관 선정으로 이어져선 안 된다는 점에 공감했다. 정정일 대변인은 “지도전문의가 부족한 곳으로의 파견은 교육 효과를 담보하기 어렵다”고 했고, 조병기 총무이사도 “기관 선정 문제로 사업이 지연되고 있다”며 정부에 제도적 보완을 건의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의사나라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장새롬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