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웅, 세마글루타이드 마이크로니들 패치 인체시험서 생체이용률 80% 입증

기존 마이크로니들 대비 최고 수준…경구제보다 160배 높아
주 1회 투여 가능·실온 안정성 확보…상업화 가능성 확대
글로벌 비만치료제 시장, 약물전달 기술이 경쟁력 좌우

대웅제약과 대웅테라퓨틱스가 세마글루타이드 성분을 적용한 자체 개발 마이크로니들 패치의 인체 적용 시험에서 주사제 대비 80% 이상의 생체이용률을 달성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결과는 대웅테라퓨틱스의 약물전달 기술 플랫폼 ‘클로팜(CLOPAM®)’을 적용한 제형이 글로벌 최초로 사람을 대상으로 입증된 사례다.


사진 제공 = 대웅제약


연구는 건강한 성인 70명을 대상으로 패치를 피부에 부착한 뒤 약물의 혈중 농도를 측정하고, 동일 조건에서 세마글루타이드 피하주사 투여 후 농도와 비교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두 제형의 투여량을 보정한 결과, 마이크로니들 패치는 주사제의 80% 이상에 해당하는 상대적 생체이용률을 기록했다. 이는 기존 동일 성분 마이크로니들 대비 약 2.7배, 경구제 대비 약 160배 높은 수준이다.

또한, 혈중 농도가 1주일간 안정적으로 유지돼 주 1회 투여가 가능한 제형 개발 가능성도 확인됐다. 주사제 대비 일관성 있는 약물 노출 양상을 보이며, 주사 공포나 복약 제한이 있는 환자군에도 적용할 수 있는 차세대 비만치료제로 주목받고 있다.

비만치료제 시장은 2024년 약 159억 달러에서 2030년 605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업계에서는 동일 성분이라도 더 높은 생체이용률과 복약 편의성을 제공하는 약물전달 기술이 시장 판도를 좌우할 핵심 요소로 꼽는다.

대웅의 클로팜 플랫폼은 용해성 마이크로니들이 피부에 녹으며 약물을 방출하는 구조로, 가압 건조·완전밀착 포장 기술을 통해 안정성과 균일성을 확보했다. 냉장 유통이 필요한 기존 제품과 달리 실온 보관이 가능해 유통 비용 절감과 친환경적 장점도 갖췄다.

대웅테라퓨틱스는 이번 성과를 기반으로 글로벌 기술이전, 공동 개발, 라이선스 아웃 등 협력을 추진할 계획이다. 강복기 대표는 “주 1회 투여 가능한 고용량 패치의 효율을 입증해 기술적 한계를 넘어섰다”고 밝혔으며, 박성수 대웅제약 대표는 “다양한 바이오 의약품으로 확장해 글로벌 플랫폼 시장을 선도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의사나라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