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과 3·4학년 졸업 일정 놓고 대학별 이견…‘5월 졸업’ 절충안에 찬반 팽팽
졸업 시기 달라지면 인턴·레지던트 선발 차질 우려…교육부, 최종 결정 고심
교수협 “대학 자율 결정 필요”…지방 의대 교수 인력난도 변수로 작용
교육부가 24일 예정돼 있던 ‘의대생 복귀 및 교육 운영 방안’ 관련 공식 브리핑을 돌연 취소했다. 교육부는 23일 저녁, “복귀 학생들의 졸업 시기와 관련해 정부와 대학 간 추가 논의가 필요하다”며 발표 취소를 공지했다.

이번 발표 연기의 배경에는 의과대학 본과 3, 4학년 졸업 일정과 관련한 대학 간 이견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각 대학마다 실습시간 주수가 달라 졸업 시기가 다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실제로 일부 의대는 2027년 2월 졸업이 가능한 반면, 다른 대학은 같은 해 8월에야 졸업이 가능하다.
졸업 일정이 대학별로 다르면 인턴 및 레지던트 선발에 혼란이 불가피하다. 이에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KAMC)는 23일 본과 3, 4학년 졸업 일정에 대한 학장 투표를 진행했고, 절충안으로 ‘5월 졸업’이 채택됐다. 이 안은 ‘의대 선진화를 위한 총장협의회’를 통해 교육부에 전달됐다.
교육부는 현재 의대생 전원 복귀를 앞두고 ‘5월 졸업’ 안 수용 또는 대학별 자율 졸업 일정을 결정해야 하는 기로에 놓였다. 그러나 ‘5월 졸업’은 사실상 학사 운영의 특례로, 교육부의 기존 ‘학사 유연화 불가’ 방침과 배치돼 특혜 논란이 불거질 수 있다.
또한 이 안에 대한 학장들의 의견도 팽팽하게 갈렸다. 5월 졸업안 투표 결과는 찬성 53%, 반대 47%로 6%p 차이에 불과했다. 교육 부담이 큰 지방 대학을 중심으로 반대가 많았으며, 교수 인력 부족에 따른 커리큘럼 조정의 어려움도 지적되고 있다.
이에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는 “복귀 의대생 교육 방식과 졸업 시점은 각 대학이 자율적으로 결정하는 것이 최선”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한 의대 교수는 “수도권 대형병원에 교수 인력이 집중돼, 일부 지방 의대는 교수 정원의 30~40%밖에 남지 않은 상황”이라며 교육 여건 악화를 우려했다.
교육부는 대학별 상황과 교육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해, 최종 방침을 조만간 확정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의사나라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정지훈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