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정 갈등 해소와 의료계 환영
주식 논란과 농지 의혹 해명에도 야당 반발
수련환경 개선 등 의료개혁 과제 시험대
이재명 대통령이 취임 후 첫 보건복지부 장관으로 정은경 전 질병관리청장을 낙점했다. 내정 단계부터 “의정(醫政) 갈등 해소”와 “의료개혁 추진”을 강조해 온 만큼, 대통령실은 국회 인사청문보고서 채택 지연에도 불구하고 21일 임명안을 재가했다. 여야 간 대치로 보고서가 단독 채택된 직후의 전격적인 임명이다.
정 장관은 질병관리청장 시절 코로나19 대응을 총괄한 경험으로 국민추천제에서 높은 지지를 받았다. 대한의사협회와 전공의협의회 역시 “의료현장을 잘 이해하는 적임자”라며 환영 메시지를 내, 의정 갈등 장기화로 흔들린 보건의료 체계 복원에 대한 기대를 키웠다.

인사청문회에서는 배우자의 손소독제·마스크 관련 주식 대량 매입 의혹, 강원 평창 농지의 농지법 위반 논란이 집중 거론됐다. 정 장관은 “코로나 관련 주식은 단 한 주도 매도하지 않았고 시세차익도 없었다”고 해명했으며, 2017년 공직자 재산검증 과정에서 “직무 연관성 없음” 판정을 받았다고 강조했다.
농지 의혹 역시 “가족·지인과 공동 경작한 땅”이라며 위법성을 부인했다. 야당은 의혹이 완전히 해소되지 않았다며 반발했지만, 정부와 여당은 “코로나 대응 경험이 절실하다”는 논리로 임명을 밀어붙였다.
현재 복귀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는 전공의들의 핵심 요구는 장시간 근무 구조 개선과 수련비용 지원 확대다. 정 장관은 후보자 시절부터 “전공의 수련환경 개선 없이는 의료 붕괴를 막을 수 없다”고 밝혀 왔다. 복귀가 현실화될 경우 ▲전공의 법적 근무시간 준수 ▲전공의 급여 현실화 ▲필수의료 인력 확충 같은 구체적 개혁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이 밖에도 △필수의료 공백 해소 △지역의료 강화 △인구 고령화 대응 복지정책 등 굵직한 과제가 산적해 있다. 특히 보건복지부가 의사 집단과 신뢰를 회복하지 못할 경우 의료 개혁 동력이 약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정 장관은 취임 직후 복지부와 의료계 대표 단체가 함께 참여하는 ‘의정 협의체’를 신속히 재가동하겠다는 방침을 세운 것으로 알려졌다. 전공의 사직 사태로 심화된 의료 공백을 해소하고, 새 의료계 합의안을 도출하는 과정이 정 장관의 리더십을 판가름할 첫 시험대가 될 전망이다.
정 장관은 취임 일성으로 “현장의 목소리를 듣고 합리적 해결책을 찾겠다”고 밝혔지만, 야당은 “의혹 소명이 미흡했다”며 국정감사·국회 상임위에서의 추가 검증을 예고했다.
<저작권자 ⓒ 의사나라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장새롬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