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대위 "수련 연속성 보장 요구, 특혜·단축 주장과 달라"
익명 커뮤니티 의견 확대 해석…공식 입장 아님 밝혀
"국민께 사과"…의사 집단행동 방지법엔 신중론
대한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위원장 한성존)가 최근 불거진 전공의 복귀 특혜 논란과 관련해 공식적인 입장을 밝혔다. 비대위는 입영 연기나 수련기간 단축 등은 대전협 차원에서 공식적으로 요구한 사안이 아니라고 강조했다.
28일 대전협 비대위는 한국환자단체연합회를 방문해 간담회를 가졌다. 이번 만남은 연합회 측이 국회 앞에서 복귀 전공의 특혜에 반대하는 릴레이 시위를 이어가던 중, 대전협 위원장이 직접 소통을 제안하면서 성사됐다.
간담회는 한성존 위원장의 공식 대국민 사과로 시작됐다. 한 위원장은 "의료계를 대표하는 일부 의사들의 부적절한 언행으로 국민께 심려를 끼친 점을 젊은 의사로서 깊이 사과드린다"고 밝혔다.
대전협은 일각에서 제기된 입영 연기·수련기간 단축 등 특혜 요구와 관련해 "이는 일부 전공의들의 의견일 뿐 비대위의 공식 입장이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다. 실제로 비대위는 전공의 수련 연속성 보장을 요구하고 있지만, 그 방법으로 입영 연기나 전문의 시험 추가 시행 등은 내세우지 않고 있다고 설명했다.
정정일 비대위 대변인은 "수련의 질 향상을 주장하는 입장에서 수련 단축은 적절하지 않은 요구"라며 "비대위가 입장을 내기 전, 일부 커뮤니티에서 익명 설문조사가 진행됐던 사실이 확대 재생산된 것"이라고 부연했다.
이날 간담회에서는 복귀 전공의 특혜 논란, 수련 연속성 보장 범위, 의사 집단행동 재발 방지법 등에 대한 상호 의견도 오갔다. 대전협은 "의사 집단행동을 막기 위한 입법이 과도한 규제가 될 수 있다"는 신중론을 내비쳤다.
정정일 대변인은 "규제와 압박만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오히려 전공의들을 현장에서 멀어지게 만들 수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환자단체연합회는 이번 간담회에 대해 "의료공백 사태 이후 처음 이뤄진 공식 대화로, 대전협이 직접 찾아와 국민께 사과한 점에 의미가 크다"고 평가했다. 양측은 향후 8월 또는 9월 중 두 번째 대화를 이어가기로 했다.
<저작권자 ⓒ 의사나라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장새롬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