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HD 치료제 마약 입문약 주장에... 정신건강의사회 강력 반박

과학적 근거 없는 비난이 환자 치료 기회 막을 우려
ADHD 치료제, 마약 남용 위험 낮추는 ‘보호 효과’ 연구도
전문가들 “정확한 정보로 치료 접근성 높여야” 강조

일부 공인들이 ADHD(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치료제를 마약으로 이어지는 입문 약물로 보는 발언에 대해 정신건강의학과 의사들이 반박에 나섰다.



대한정신건강의학과의사회는 17일 보도자료를 통해 최근 공인들의 이런 주장은 수십 년간 축적된 과학적 연구와 배치된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ADHD 치료제로 흔히 쓰이는 메틸페니데이트(리탈린)와 암페타민 제제가 마약 남용 위험을 높인다는 근거가 거의 없으며, 오히려 치료가 위험을 낮추는 보호 효과를 나타낸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고 밝혔다.

UCLA 연구진이 2500명 이상의 ADHD 아동을 수년간 추적 조사한 결과, 치료제 복용과 이후 마약류 사용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음을 확인했다. 스웨덴 국가 코호트 연구 역시 약물을 복용한 ADHD 환자가 복용하지 않은 환자보다 물질남용 위험이 31% 낮다는 통계를 발표했다.

ADHD 전문의 Steve S. Lee 박사는 “치료제를 복용한다고 해서 마약에 입문한다는 주장은 사실과 다르다”며 “치료를 받은 환자들이 오히려 약물 남용으로부터 더 보호받는 경향이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브라운대 연구진은 ADHD 치료제가 코카인과 같은 작용을 하지 않으며, 처방에 따라 복용할 경우 안전성이 입증됐다고 밝혔다.

정신건강의학과의사회는 ADHD 치료제를 ‘게이트웨이 드럭’으로 분류하는 주장에 대해서도 과학적 근거가 없다고 지적했다. 게이트웨이 드럭은 상대적으로 약한 약물이 더 강한 마약으로 이어진다는 가설인데, 이를 ADHD 치료제에 적용하는 것은 부적절하다는 것이다.

사회적 영향력이 큰 공인들의 발언이 환자와 가족의 치료 접근을 막고 오해를 증폭시킬 수 있다는 점도 우려했다. 잘못된 인식은 치료 회피나 중단으로 이어져 환자 삶의 질에 부정적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의사회는 “ADHD 약물은 치료 도구이지 마약의 관문이 아니다”며 “정확한 정보를 바탕으로 환자에게 올바른 치료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의사나라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