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은경 복지부 장관 “의정갈등 해소·적정 의료인력 확보에 총력”

정은경 장관, 의료인력 수급추계위원회 도입 등 의료개혁 청사진 제시
전공의 특혜 논란에 합리적 대안 약속…의견 수렴해 정부 지원 방침
사회안전망·돌봄·디지털헬스케어 등 미래 복지정책도 대대적 추진

정은경 신임 보건복지부 장관이 취임 일성으로 의정갈등 해결과 의료인력 적정 배치, 미래형 보건복지체계 구축에 대한 강한 의지를 밝혔다. 정 장관은 22일 취임사를 통해 국민 중심의 의료개혁과 사회안전망 확충, 돌봄 국가책임 강화 등 주요 정책 비전을 발표했다.


▲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 / 사진 : 보건복지부

정 장관은 “국민과 의료계 모두가 공감할 수 있는 의료개혁을 추진하겠다”며, 의료인력 수급추계위원회 도입을 통해 지역·필수·공공의료 인력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겠다고 약속했다. 이를 위해 적정 인력 규모에 대한 과학적인 추계와 충분한 보상책을 마련하겠다고 강조했다.

전공의 복귀를 둘러싼 ‘특혜 논란’에 대해서도 합리적인 방안을 찾겠다고 밝혔다. 정 장관은 “특혜에 대한 의료계와 국민의 우려를 인식하고 있다. 2년 이상 신규 의사 배출이 중단될 경우 국민의 의료 이용에 큰 불편이 초래될 수 있는 만큼, 각 수련 주체들의 의견을 모아 정부가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국립대학교병원 업무의 보건복지부 이관 방침도 재확인했다. 이를 통해 지역 공공의료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강화하고, 환자의 안전성과 편의성을 보장하는 방향으로 비대면 진료 제도화도 본격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아동수당·국민연금·기초연금 등 생애주기별 소득보장 강화, 기초생활보장제도 개선, 상병수당 확대, 청년·중장년 맞춤형 고독 대응, 복지 빅데이터 활용 등 사회안전망을 촘촘하게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돌봄 국가책임 강화를 위해 의료·요양·돌봄 통합지원 서비스도 전국적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정 장관은 “K-바이오, 백신 펀드, 보건의료 R&D, AI 기반 디지털 헬스케어 등 미래 전략산업 육성에도 힘쓰겠다”며, 보건의료데이터의 안전한 활용과 의사과학자 양성에도 주력할 방침임을 밝혔다.

끝으로 정 장관은 “모든 정책 추진 과정에서 현장 목소리를 반영하고 국민과의 소통을 최우선 가치로 삼겠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의사나라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