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의료 불신 회복이 우선… 복지부 장관 통해 전공의 복귀 여건 만들 것”

“전 정부 일방적 정책이 의료체계 훼손… 국가적 손실 컸다”
복지부 장관 인선에 의료계 긍정 반응… “희망의 신호” 평가
의정 갈등 장기화에 “신뢰 회복과 솔직한 대화로 해결 가능”

이재명 대통령이 의료계와 정부 간의 깊은 불신을 해소하고, 전공의 및 의대생 복귀를 위한 여건 조성에 직접 나설 뜻을 밝혔다.


▲ 오늘 3일 이재명 대통령이 '취임 30일 기자회견'에서 질의응답에 나서고 있다. / KTV

대통령은 취임 한 달을 맞아 열린 기자회견에서 의료 사태를 “가장 자신 없는 분야”라고 솔직히 인정하면서도, 정부 차원에서 복귀 가능성을 열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3일 진행된 취임 30일 기자회견에서, 이 대통령은 현재까지 이어지는 의정 갈등에 대한 질문에 “정부가 바뀌면서 의료계의 경계심이 다소 누그러진 것 같다”고 언급했다.


일부 전공의 복귀가 이미 시작된 점을 들며, “가능하다면 올해 2학기에는 복귀가 이뤄질 수 있도록 정부가 제 역할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특히 복지부 장관 인선과 관련해 의료계의 긍정적 반응이 감지되고 있다는 점에 주목했다. 최근 거론되고 있는 정은경 전 질병관리청장에 대해 일부 의료단체들이 환영 성명을 발표한 것을 언급하며 “희망적인 신호가 아닐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지난 정부의 정책 운영 방식을 비판했다. “전 정부가 의료계와 소통 없이 추진한 과도하고 일방적인 정책들은 의료시스템을 심각하게 훼손했다”며, “그로 인한 사회적 비용과 국가적 손실도 작지 않았다”고 평가했다. 이 대통령은 의료 현장의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지금이라도 대화와 토론을 회복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과정에서 그는 의료단체 및 전공의 단체와의 접촉 경험을 공유하며, “전공의협의회 측과도 면담했고, 여러 의료단체 관계자들과도 소통해 본 결과 결국 핵심은 신뢰 문제였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정부가 신뢰를 회복하고 솔직한 대화를 기반으로 타협을 도출해낸다면 충분히 해결 가능한 문제라고 본다”고 덧붙였다.

또한 “복지부 장관 임명이 조속히 이뤄지길 기대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정부와 의료계가 다시 대화 테이블로 복귀하는 계기를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재명 정부는 향후 복지부 수장을 중심으로 의료계와의 소통 재개 및 제도적 신뢰 회복을 목표로 의료 정책 기조를 전환해나갈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의사나라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