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美 디지털 헬스케어 기업 ‘젤스’ 인수…커넥티드 케어 본격화

갤럭시 헬스 생태계 확대…웨어러블과 병원 데이터 연결
미국 500개 병원 네트워크 확보…삼성, 헬스케어 플랫폼 도약
디지털 헬스에서 예방의료까지…삼성의 초개인화 전략 본격 가동

삼성전자가 미국 디지털 헬스케어 플랫폼 기업 ‘젤스(Xealth)’를 인수하며 글로벌 헬스케어 사업 확대에 본격 시동을 걸었다. 삼성전자는 7일 젤스와의 인수 계약을 공식 발표하고, 자사의 헬스 플랫폼인 ‘삼성헬스’를 중심으로 커넥티드 케어(Connected Care) 서비스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사진출처=삼성전자 보도자료


이번 인수로 삼성전자는 단순 웨어러블 기술을 넘어 의료 기관과 직접 연결되는 디지털 헬스케어 생태계 구축에 돌입하게 된다. 젤스는 2016년 미국 대형 병원 그룹 프로비던스 헬스 시스템에서 스핀오프한 이후, 미국 내 500여 개 병원 및 70여 개 헬스케어 솔루션 기업과 협력해 왔다.

젤스의 강점은 의료진이 환자 맞춤형 디지털 솔루션을 플랫폼 내에서 직접 추천·처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능에 있다. 예컨대 당뇨 환자에게 혈당 관리, 운동 기록, 식단 조절 기능이 통합된 앱을 연동해 관리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러한 시스템은 의료진의 업무 효율을 높이고, 환자 개개인의 건강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기반이 된다.

삼성전자는 기존의 웨어러블 기기(스마트폰, 워치, 헬스 링 등)를 통해 수집한 생체 데이터를 젤스 플랫폼과 연계해, 단순한 데이터 수집을 넘어 실제 의료 서비스와 연결된 실시간 맞춤형 케어를 제공할 방침이다. 이를 통해 의료기관과 환자 간의 정보 단절을 줄이고, 병원 외에서도 지속적인 건강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할 전망이다.

삼성전자 DX부문장 직무대행 노태문 사장은 “삼성전자는 일상의 건강 관리를 지원하는 혁신 기술과 생태계를 지속 확장하고 있다”며 “젤스의 전문성과 네트워크를 더해 초개인화된 예방 중심 헬스케어의 새로운 표준을 제시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젤스의 CEO 마이클 맥쉐리 또한 “삼성과 젤스는 커넥티드 헬스케어 구현이라는 공동 목표를 공유하고 있다”며, “웨어러블 기반 생체 데이터와 병원 의료 기록의 결합은 헬스케어 분야의 패러다임 전환을 의미한다”고 밝혔다.

한편 삼성전자는 최근 몇 년간 로봇, AI, 의료기술, 전장, 공조 분야 기업들을 적극적으로 인수해 미래 기술 기반을 다지고 있으며, 젤스 인수 역시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 내 주도권 확보를 위한 전략의 일환으로 해석된다. 인수 절차는 연내 마무리될 예정이다.

<저작권자 ⓒ 의사나라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