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CML 2025에서 비임상 연구 결과 발표… 글로벌 석학들 주목
EZH2 선택적 저해제 내성 모델서도 탁월한 항종양 효과 입증
글로벌 임상 1상 순항 중… ESMO 2025서 임상 결과 공개 예정
한미약품이 차세대 표적항암 혁신신약으로 개발 중인 ‘EZH1/2 이중저해제(HM97662)’가 기존 EZH2 선택적 저해제의 내성 메커니즘을 극복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국제 학회에서 발표하며 림프종 분야 글로벌 석학들의 이목을 끌고 있다.

한미약품은 지난 6월 17일부터 21일까지 스위스 루가노에서 개최된 제18회 국제림프종학회(ICML 2025)에 참가해 HM97662에 대한 비임상 혈액암 연구 결과를 포스터 발표로 소개했다고 4일 밝혔다.
HM97662는 EZH1과 EZH2 단백질을 동시에 억제하는 이중 저해 기전을 바탕으로, 기존 EZH2 선택적 저해제 대비 항암 효능이 우수하고 내성 극복 가능성을 갖춘 차세대 혁신 항암제로 주목받고 있다.
‘유전자 조절 스위치’ 역할을 하는 EZH1과 EZH2는 암 세포의 성장과 분화를 조절하는 주요 단백질로, 이들을 동시에 억제하면 암 유발 복합체인 ‘폴리콤 억제 복합체 2(PRC2)’의 기능을 강력히 차단할 수 있다. 이는 종양 세포의 생존에 타격을 줄 수 있는 새로운 치료 전략으로 간주된다.
한미약품의 발표에 따르면 HM97662는 단독 투여만으로도 B세포 림프종 모델에서 종양 성장 억제 효과를 보였다. 특히 EZH2 선택적 저해제인 타제메토스타트(제품명 타즈베릭) 대비 B세포 림프종 및 다발성 골수종 세포주에서 히스톤 단백질(H3K27me3)의 삼중 메틸화를 용량 의존적으로 보다 강하게 억제했다.
주목할 점은 타제메토스타트 장기 노출로 인해 구축된 내성 세포주에서도 HM97662는 효능을 유지했다는 사실이다. 내성 세포에서는 EZH1 발현이 보완적으로 증가했으며, 이를 이종이식한 동물 모델에서도 항종양 활성이 관찰됐다. 이는 HM97662가 기존 치료제의 내성 한계를 돌파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현재 HM97662는 한국과 호주에서 진행성 혹은 전이성 고형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글로벌 임상 1상 시험이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 한미약품은 오는 10월 유럽종양학회(ESMO 2025)에서 해당 임상 데이터를 발표할 예정이다.
한미약품 ONCO임상팀 노영수 이사는 “HM97662는 EZH1/2 이중 저해 전략을 통해 차별화된 항암 효능을 입증했으며, 향후 다양한 암종으로의 적응증 확대 가능성도 기대된다”고 말했다.
한편, HM97662는 2021년 국가신약개발사업에 선정되어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 아래 개발되고 있다. 국가신약개발사업은 미충족 의료 수요 분야 신약을 중심으로 전주기 연구개발을 지원하는 범부처 R&D 프로젝트다.
<저작권자 ⓒ 의사나라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김정수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