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리셀, 글로벌 유통사와 손잡고 북미·유럽 3D 바이오프린터 시장 본격 진출

신티카와 전략적 유통 계약 체결… 미국·유럽 CRO 및 대학 시장 확대 기대
하버드 의대 협력 기반… 정밀 조직 모델 출력 기술로 북미 의료기관 공략
고성능 바이오프린터 4종 라인업으로 암 오가노이드, 인공 피부 등 응용 확장

3D 바이오프린팅 전문 기업 클리셀(공동대표 전경휘·이동혁)이 글로벌 실험 기자재 유통업체 신티카 인스트루먼테이션(SCINTICA Instrumentation Inc.)과 전략적 유통 파트너십을 체결하며, 북미·유럽을 중심으로 세계 시장 확장을 위한 본격적인 발판을 마련했다.


사진 제공 = 클리셀


신티카는 미국, 캐나다, 유럽 등에서 활동 중인 고부가가치 과학 의료기기 유통 전문 기업으로, 대학과 제약사, 계약 연구기관(CRO)을 주요 고객으로 두고 있다. 이번 파트너십으로 클리셀은 자사의 3D 바이오프린터 제품군을 북미 및 유럽 시장에 본격 공급하게 됐다.

클리셀의 3D 바이오프린터는 하버드 의과대학 연구팀과의 협력으로 상용화된 고성능 시스템으로, 2023년 미국 FCC 인증을 획득하며 북미 의료기기 시장 진입 기반을 확보했다. 주요 라인업은 ▲U-FAB MASTER ▲U-FAB ACTIVO ▲NOVO ▲CLIBOT 등으로 구성되며, 조직공학, 재생의학, 약물 스크리닝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 최적화돼 있다.

특히 ‘U-FAB ACTIVO’는 국내에서 체외진단용 1등급 의료기기 허가를 받은 장비로, 저점도부터 고점도까지 폭넓은 바이오잉크를 정밀하게 프린팅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또, 출력된 구조물에는 다양한 가교결합 기술이 적용돼 조직 안정성이 극대화된다. 실제로 클리셀은 해당 기술을 기반으로 인공 피부 ‘클리스킨(CleSKIN)’을 성공적으로 상용화했다.

이번 미국 진출은 단순 판매를 넘어서, 하버드 의대 및 브리검 여성병원과의 연구 경험을 기반으로 정밀 의료 플랫폼 개발을 위한 협력 확대에도 중점을 둔다. 클리셀은 세포 생존율 95% 이상의 오가노이드 출력 기술을 통해 항암제 반응 평가 등 환자 맞춤형 치료 연구에 본격 참여할 방침이다.

클리셀 국윤일 부사장은 “하버드 협업 기술력과 FCC 인증 안정성을 바탕으로, 미국 현지 기관과의 공동 연구 및 납품을 단계적으로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클리셀은 아시아 시장 공략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대만에서는 캔서프리바이오텍, AllisWell Bio와 암 오가노이드 연구 및 장비 납품 협력을 진행 중이며, 최근 한중 의료산업 융합발전 대회에서 우수 기업으로 선정되며 중국 의료기기 진출 가능성도 확보하고 있다.

클리셀은 “3D 바이오프린팅 기술은 임상 시뮬레이션, 정밀 진단, 연구 장비 등 다양한 분야로 확장될 수 있다”며, “조직 모사 기술을 통해 글로벌 생명과학 산업의 핵심 파트너로 자리매김하겠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의사나라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