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면윤곽수술을 받은 뒤 과다출혈로 인해 사망한 권대희 씨를 수술했던 성형외과 원장에게 3년의 징역형이 확정됐다. 이 사건은 수술실 CCTV 설치법(의료법 개정)이 마련되는 계기가 된 사건이기도 하다.12일 대법원은 업무상 과실치사와 의료법 위반 혐의로 기소된 성형외과
인구 3만 4,000여 명의 작은 농촌인 경남 산청군에서 내과의사 모집 공고에 최소 3억 6천만 원의 연봉을 보장한다는 공고에도 전화 한 통이 없어 지역 군민과 관계자들의 애간장을 태우고 있다.▲ 출처 : 산청군산청군은 서울과 수도권 등 대도시와 달리 제대로된 의료시설
경기도에 사는 이모 씨(32)는 아들 김모 군(18개월)을 동네 소아과의원에 데려갔다 ‘유아사시’의심 판정을 받았다. 이에 의사는 2돌이 되기 전 수술할 것을 권고했고 큰 병원에 가보라며 진료의뢰서도 작성해줬다. 그러나 이모 씨는 서울 시내 주요 대학병원을 찾았으나 “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가 올해 업무보고를 통해 ‘의사의 환자 마약류 투약이력 조회 의무화’를 추진할 것을 밝히며 의료계가 강하게 우려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물론 무조건적인 반대는 아니다. 의료계도 마약류 오남용을 방지하기 위해 처방 시 유의해야 한다는 것에는 분명 동
고공행진하고 있는 대출금리에 의료계도 절망에 빠지고 있다. 코로나19 상황 속 많은 병·의원이 경영 악화에 빠진 가운데 ‘엎친데 덮친격’이 되어버렸기 때문이다. 게다가 기준금리 추가인상마저 고려되고 있다. 금융권은 오는 13일 열리는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에서 현재 3
2021년 건강보험 보장률이 64.5%에 그쳐 전년도(65.3%)보다 소폭 하락했다. 건보 보장률이 전년 대비 하락한 것은 2016년 이후 5년 만이다. 지난 정부가 ‘문재인 케어’를 도입하며 건보 보장률을 70%까지 끌어 올리겠다고 약속했었으나 오히려 뒤로 후퇴한 셈
한의사 초음파 진단기기 사용이 의료법 위반이 아니라는 대법원의 판결로 들끓고 있는 의료계 앞에 큰 파도가 또 한 번 다가오고 있다. 비의료인의 문신·반영구화장 시술을 두고 대법원 합의체가 심리를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대법원은 사안이 재판부 의견일치를 보지 못하거나
의사 국가고시에 합격하지 못한 의대생이 면허를 위조해 28년이나 가짜의사로 지내다 최근 적발된 사실이 알려지며 논란이 일고 있는 가운데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현 시스템에선 ’가짜의사 적발이 사실상 불가능에 가까워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 A씨가 위조한 의사 면허증복지
한의사의 초음파 진단기기 사용이 의료법 위반이 아니라는 판결이 내려진 이후 의료계는 일제히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의료계가 이를 반대하는 가장 큰 이유는 ‘정확한 진단’을 내릴 의학적 지식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이 사건의 한의사 A씨는 환자를 2년동안 68회 초음파 검
올해부터는 재난적의료비 지원과 정신의료기관 환경개선 사업이 확대되고 휴·폐업 의료기관 진료기록 보관·발급 시스템이 도입될 예정이다. 올 한해 집중연구분야에는 감염병 팬데믹 대응을 위한 비대면 진료기술 개발 등 감염병 대응 관련 연구들이 대거 포함됐다.5일 보건복지부는
올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적정성 평가에서 환자안전과 환자경험 분야가 강화된다. 환자안전과 밀접한 혈액투석·마취 분야 등으로 평가 대상을 넓히고 암 질환과 뇌졸중 등 중증의료에 대한 평가도 실시한다.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이같은 내용이 담긴 ‘2023년도 요양급여 적정성 평
한의사의 초음파 진단기기 사용이 의료법 위반이 아니라는 대법원 판결에 대해 의료계의 반발이 이어지고 있다. 대한피부과학회는 이번 대법원 전원합의체의 판결이 의료인 면허제도를 뿌리째 뒤흔드는 것이나 다름이 없다고 비판했다.피부과학회는 4일 성명서를 통해 “대법원은 무책임
최근 의학계와 식품의약품안전처간의 건강기능식품을 둔 행보가 엇갈리고 있다. 국내외 의학계가 건기식의 무용성에 큰 무게를 실어주고 있는 가운데 이와 반대로 식약처는 건기식 섭취로 인한 국민 의료비 절감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기대된다며 관련 연구 추진을 예고했다.2일 의료
간호조무사 등 자격이 없는 사람에게 제왕절개·복강경 봉합수술을 600회 이상 지시한 병원의 대표 원장과 해당 간호조무사에 실형이 선고되고 나머지 의료진들에게도 집행유예와 벌금형이 선고됐다.울산지법 형사 11부(박현배 부장판사)는 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위
‘위드코로나’에 돌입한 중국에서 코로나19 환자가 폭증하고 있는 상황에 따른 감기약 사재기 열풍이 일본과 우리나라 등 주변국가로 퍼지고 있는 조짐을 보이고 있어 정부가 ‘판매 수량 제한’ 등 대안 마련에 나섰다.정부는 이번주 중으로 공중보건위기대응위원회를 개최하고 감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