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대병원 노동자들, 잇따라 파업 여부 투표 돌입
정부에 “공공의료 강화·의료인력 확충” 압박
공공의대 설립·주4일제 도입 등 구체적 요구 제시
공공운수노조 의료연대본부가 국립대병원 노동자들을 중심으로 공동파업을 준비하고 있다. 조합원 찬반투표가 진행 중이며, 투표 결과에 따라 오는 15일부터 본격적인 집단행동에 돌입할 가능성이 커졌다.
서울대병원은 5일부터 9일까지 파업 여부를 묻는 투표를 진행 중으로, 10일 병원 시계탑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결과를 발표한다. 강원대병원은 8일부터 10일까지, 경북대병원은 10일부터 12일까지 각각 투표 일정을 잡았다. 충북대병원도 같은 노조 소속으로 파업 동참 가능성이 거론된다.
의료연대본부는 이번 행동이 단순한 임금 협상을 넘어선다고 강조한다. 노조는 “정부가 공공의료 확충과 지역 격차 해소를 공언했지만, 구체적 실행 계획은 부재하다”며 “의사 인력 확대를 반대해온 기존 의료계와 달리, 우리는 공공의료와 지역의료 인력을 대폭 늘리는 것이 해법이라고 본다”고 밝혔다.
이들은 공공의대 설립, 지역의사제 도입, 보건의료 인력 배치기준 마련과 확충을 주요 과제로 제시했다. 또한 “공공병원 노동자들은 정부 지침으로 인한 인건비 통제와 경영평가에 묶여 권리를 잃고 있으며, 민간병원 노동자들은 병원의 이윤 구조 속에서 소모품처럼 취급받고 있다”며 파업 이유를 설명했다.
노조가 내세운 4대 요구안은 ▲공공·지역의료 강화를 위한 국가 책임 확대 ▲보건의료·돌봄 인력 확충 ▲노동조건 개선 및 권리 보장 ▲의료민영화 저지와 건강보험 보장성 확대다. 세부적으로는 국립공공의대 설립, 주4일제·32시간제 도입,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혼합진료 금지 등이 포함됐다.
의료연대본부의 파업 추진은 공공의료 강화라는 정책적 의제를 전면에 내세운 만큼, 향후 정부 대응 방향과 의료 현장의 파급효과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저작권자 ⓒ 의사나라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장새롬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