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난치성 뇌전증 극복 위한 수술로봇장비 보급 추진

뇌전증 수술 역량 갖춘 종합병원 1곳 공개 모집
로봇장비 도입에 7억 원 지원…진단·치료 인프라 확충 기대
사회적 편견 해소와 환자 지원 위한 국가적 대응 본격화

정부가 치료 난이도와 환자·보호자의 부담이 큰 난치성 뇌전증 환자들을 위해 정밀 진단과 수술 장비 지원에 나선다. 뇌전증은 치매와 뇌졸중과 함께 3대 신경계 질환으로 분류되지만, 그간 사회적 관심과 의료 인프라 측면에서 상대적으로 소외돼 왔다.



보건복지부는 21일, '뇌전증 수술로봇장비 지원사업'을 수행할 종합병원 1곳을 공개 모집한다고 밝혔다. 이 사업은 2024년 한 해 동안 진행되는 단년도 사업으로, 수술로봇장비의 구입비를 일부 지원하고 이를 통해 전국 단위로 뇌전증 환자의 치료 접근성을 향상시키는 데 목적이 있다.

뇌전증은 과거 ‘간질’이라는 이름으로 잘못 알려지며 정신질환이나 유전병 등으로 오해받아 왔고, 이에 따른 사회적 낙인이 여전히 존재한다.


국내 등록된 환자 수는 약 30만 명이지만, 통계에 잡히지 않는 환자들까지 포함하면 실제 환자 수는 50만 명을 넘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수익성과 진료 수요의 제한성 등으로 의료 현장에서는 적극적인 진료가 이뤄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번에 추진되는 수술로봇장비 지원사업은 뇌전증 환자의 수술 기회를 확대하고, 치료 질을 높이기 위한 기반 조성의 일환이다. 정부는 해당 장비 도입을 위한 지원금으로 7억 원을 책정했으며, 수술 실적에 대한 보고는 장비 사용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이행해야 한다.

지원 대상은 뇌전증 수술이 가능한 역량을 갖춘 종합병원급 의료기관이며, 신경외과와 신경과가 협력하는 수술팀이 실제로 운영 중이어야 한다. 병원은 장비 구매 비용의 30%를 자체 부담해야 하며, 장비 배치를 위한 적절한 공간과 설비, 운용 인력 확보 및 유지보수 계획 등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참여 병원은 5월 21일부터 6월 9일까지 국가 종합 전자조달시스템(e나라장터)을 통해 신청할 수 있다. 이후 6월 4주 차에 구성되는 심사위원회에서 평가가 진행되며, 7월 첫째 주에 선정 기관이 확정된다.


평가 항목은 ▲뇌전증 수술 관련 전문성(30점) ▲장비 운용 및 활용 역량(30점) ▲장비 배치 공간의 적합성(20점) ▲사업 추진 의지 및 계획의 적극성(20점) 등이다.

보건복지부는 최종 선정된 의료기관은 장비를 구매하기 전, 장비심의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구매계획을 사전에 보고해야 한다고 안내했다.

한편, 정부는 앞서 뇌전증 환자 지원을 위한 종합대책의 일환으로 진단과 치료 지원, 인식 개선을 위한 교육 및 홍보, 환자 상담 시스템 운영, 연구개발과 통계 구축 등을 수행할 '뇌전증 지원센터'도 공모한 바 있다. 

<저작권자 ⓒ 의사나라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